분류 전체보기 114

C/C++ void main, int main 차이점

일반적으로 void main을 사용하는데 보다보면 int main을 사용하는 곳이 있다. 둘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적어보면 void main은 단순한 프로그램에 코드의 마지막 줄에 도달하여 종료되고 코드에 오류가 없는 경우 void main ()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코드에 오류가 있고 코드 중간에 멈춘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int main의 경우 exit() 메서드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하려면 정수 값을 반환해야한다. 이 상황에서 void main ()은 작동하지 않는다.

카테고리 없음 2021.03.22

깃허브 버전 만들기

버전이란 깃에서 버전이란 문서를 수정하고 저장할 때마다 생기는 것. 깃에서 버전을 관리하면 원래 파일 이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일에서 무엇이 변경했는지를 변경 시점마다 저장할 수 있음. 스테이지와 커밋 이해하기 작업트리 : 파일 수정, 저장 등 작업하는 디렉터리 스테이지 : 버전으로 만들 파일이 대기하는 곳 저장소 : 스테이지에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 스테이지와 저장소는 눈에 보이지 않는 영역. hello-git으로 들어가서 git status를 입력 On branch master : 현재 마스터 브랜치에 있다. No commits yet : 아직 커밋한 파일이 없다. nothing to commit : 현재 커밋할 파일이 없다. vim hi.txt : hi 문서를 생성한다. 위와..

카테고리 없음 2021.02.14

깃으로 버전 관리하기

버전 : 깃에서는 문서를 수정할때마다 수정 내용을 간단한 메모와 함께 스냅숏을 찍어 저장 git init : 깃을 사용할 수 있도록 디렉터리를 초기화 초기화 후 ls -la로 디렉터리 내용을 확인해 보면 마지막에 .git이라는 디렉터리가 생성되어 있음 이 디렉터리가 깃의 버전이 저장되는 저장소 폴더에서 보이지 않고 숨겨져 있다. 윈도우 탐색기의 보기 탭에서 '숨긴 항목'을 체크하고 맥에서는 Shift + Command + .을 눌러서 확인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1.02.13

Git bash 단축키

cd ~ : 홈디렉터리로 이동 mkdir name : name의 디렉터리를 생성 cd name : name의 디렉터리로 이동 cd.. : 이전 디렉터리로 이동 pwd : 현재 경로를 알려줌 ls : 디렉터리의 내용을 알려줌 ls -l : 디렉터리의 폴더 상세 정보까지 알려줌 ls -a : 디렉터리의 숨김 파일과 디렉터리까지 보여줌 rm -r name : name의 디렉터리를 삭제함 vim new.txt : new.txt 파일을 vim으로 작성(vim은 편집기) cat new.txt : new.txt 파일을 터미널 창에 보여줌 clear : 터미널 창의 내용을 지움 exit : 터미널 창을 종료

카테고리 없음 2021.02.13

터미널 창에서 디렉터리 만들기 및 삭제하기

디렉터리 만들기 mkdir test 디렉터리 삭제 rm -r test vim test.txt a와 i를 입력해서 입력모드로 변경 ESC눌러서 다시 EX모드로 EX모드에서는 아래의 INSERT모드가 사라짐 :누르면 아래에 글자 입력 가능, w는 저장, q는 종료 편집기가 종료되고 터미널 창으로 돌아감 빔(vim) ex 모드 명령 모음 (:) 콜론으로 시작 :w, :wrtie : 편집 중이던 문서 저장 :q, :quit : 편집기 종료 :wq : 편집중이던 문서를 저장하고 종료. 편집기 변경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notepad++" vim

카테고리 없음 2021.02.12

리눅스 명령어 1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위치 경로 ls : list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 표시 -는 옵션 ls -la, ls -al : 숨긴 파일과 디렉터리 표시 ls 명령 옵션 1. -a : 숨김 파일과 디렉터리도 함께 표시 2. -l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상세 정보를 함께 표시 3. -r : 파일의 정렬 순서를 거꾸로 표시 4. -t : 파일 작성 시간 순으로(내림차순) 표시 cd .. : 현재 위치에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 디렉터리의 파일과 디렉터리 확인 cd users : users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홈 디렉터리로 이동 ~ :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 : 현재 사용자가 작업 중인 디렉터리 ../ : 현재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

카테고리 없음 2021.02.09

깃허브(git hub) 사용하는 이유와 설치하기

깃허브를 사용하는 이유 1. 버전관리 : 언제 수정했는지, 어떤 것을 변경했는지 구체적으로 기록 가능 2. 백업하기 : 컴퓨터가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 온라인 저장소 기능 3. 협업하기 : 온라인으로 함께 협업이 가능한 툴 다양한 깃 프로그램 깃 허브 데스크탑, 토터스 깃, 소스 트리, 깃 익스텐션스 등 git-scm.com/downloads/guis를 참조 깃허브 설치하기 git-scm.com Git git-scm.com 위의 홈페이지에 접속 오른쪽 아래의 컴퓨터 아이콘으로 프로그램 설치 설치 옵션 선택, Next를 눌러준다. 깃허브에서 사용하는 에디터를 선택하는 화면, Vim이 기본 값인데 그대로 Next를 눌러준다. 새로운 저장소의 초기 branch의 이름을 지정해주는 내용으로 Next를 눌러준다. ..

카테고리 없음 2021.02.07

ICT를 사용을 위한 PCB Design 방법

Fixture의 Accesdsibility는 ICT가 제 기능을 발휘하려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Accessibility는 UUT(Unit Under Test)의 PCB 설계와 Fixture 제작 정밀성에 달려 있습니다. Fixture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 PCB 설계의 DFT(Design for Test) Rule을 이해해야 합니다. 1. 단일 NET은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의 Probe를 필요로 한다. 2. SMT Process 이후 테스트 Accessibility와 DIP Process 이후 테스트 Accessibility는 다를 수 있다. (Probe tip 도 마찬가지.) 3. Probe 범위는 50, 75, 100mil(0.9, 1.3, 1.7 pi) 4. Fixture는 양면 Acces..

카테고리 없음 2021.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