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웹 브라우저에서 https://www.kicad.org/ 사이트 접속 회사에서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 대부분 OrCAD와 PADS를 많이 사용을 합니다. 하지만 두 프로그램의 경우 라이센스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사용을 하기에는 비용의 부담이 큽니다. 개인적으로 개발을 하기 위해서 무료로 배포를 하고 있는 KiCAD를 사용하고자 마음을 먹었습니다. 간단하게 개요를 마치고 위의 사이트로 접속하여 KiCAD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첫 화면에 보이는 파란색의 Download 아이콘을 클릭해 줍니다. 2. 운영체제 선택 KiCAD는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저는 비운의 Intel 마지막 세대의 맥북 프로를 가지고 있는데 macOS 를 선택해서 설치를 해주었..